여기서 「비표준」이란 commonmark 표준에 정의되지 않았거나 일부 파서에서만 사용되는 경우, 혹은 내가 맘대로 만든 경우(?)를 말한다.
**굵은 글씨**와 __굵은 글씨__
결과물:
굵은 글씨와 굵은 글씨
*기울어진 글씨*와 _기울어진 글씨_
결과물:
기울어진 글씨와 기울어진 글씨
***굵고 기울어진 글씨***와 ___굵고 기울어진 글씨___
결과물:
굵고 기울어진 글씨와 굵고 기울어진 글씨
<!-- HTML 주석 -->
결과물:
(아무것도 안 보일 건데, 주석이기 때문에 당연한 결과다.)
--밑1줄-- <!-- 비표준이다. -->
결과물:
밑1줄
{#ff0000}(색) <!-- 비표준이다. -->
결과물:
색
{+9}(큰1글1씨) <!-- 9단계까지 지원. 비표준이다. -->
결과물:
큰1글1씨
{-9}(작1은글1씨) <!-- -9단계까지 지원. 비표준이다. -->
결과물:
작1은글1씨
==형1광1펜== <!-- 비표준이다. -->
결과물:
형1광1펜
~~취소선~~ <!-- 비표준이다만, github에서도 쓸 수 있다. -->
결과물:
취소선
<!-- 비표준이다만, github에서도 쓸 수 있다. -->
[^각주이름]
[^각주이름]
[^각주이름]: 각주 내용
일반 각주의 이름에는 띄어쓰기가 들어갈 수 없다.
<!-- 비표준이다. -->
^[inline 각주 1]
결과물:
[1]
<!-- 비표준이다. 저 위에 일반 각주랑 차이점은 ^ 뒤에 띄어쓰기가 있다는 것. -->
[^ inline 각주 2]
결과물:
[2]
<!-- 비표준일 수밖에 없는 게, 나무위키 거를 그대로 가져왔다. -->
[* inline 각주 3]
결과물:
[3]
추가사항: inline 각주는 이름을 지을 수 없으며, 각주의 이름을 지으려면 저 위에 있는 일반 각주를 써야 한다.사실 귀찮아서 안 만들었다. 언젠가는 만들 예정. 아마 문법은 대강 [^각주이름](내용)
이런 느낌일 듯
:::folding 스포주의 <!-- 비표준이다. -->
그런데... **그것이 실제로 일어났다!!!**
:::
결과물:
스포주의
그런데... 그것이 실제로 일어났다!!!
:::ignore-md
__마크다운__ 문법 *무시* <!-- 비표준이다. -->
:::
결과물(여기서는 주석도 안 먹힌다):
__마크다운__ 문법 *무시* <!-- 비표준이다. -->
> 명1언
결과물:
명1언
`System.out.println();`
결과물:
System.out.println();
```rust
fn main(){
println!("소스코드");
}
```
결과물:
fn main(){
println!("소스코드");
}
~~~javascript
$(document).ready(function(){
console.log("소스코드");
});
~~~
결과물:
$(document).ready(function(){
console.log("소스코드");
});
<https://namu.wiki>
결과물:
https://namu.wiki
[url 주소](https://umamusume.jp/sp/character/detail/?name=silencesuzuka)
결과물:
url 주소

결과물:
댓글